남도여행/고흥여행

쑥스러운 쑥섬으로 아짐찮게 떠나는 인생길 ; 고흥 나로도 쑥섬

고흥돌문어 2024. 10. 1. 06:42

인생은 연극인가~여행인가
인생여행 드라마에 세 가지 장르의 사람이 있다.
똑같은 커피를 마셔도 세사람이 다르다.

1) 커피가 참 맛있네~
2) 맛있는 이 커피 어떻게 만들었을까?
3) 아~내 인생도 커피처럼 달콤했으면...

첫번째가 원초적이며감각적인 삶이요,
두번째가 이성적이고 분석적인 삶이요,
세번째는 직관적이며 詩적 삶이다,
세번째를 은유적 삶이라 해도 좋겠다.

학창시절에 그냥 존재 시~그렇게 만 알고 외기만 했던 김춘수 <꽃>으로 말해도 좋겠다.

나는 너(쑥섬)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눈짓이 되고 싶다

나는 오늘 남도에서 맨 처음으로 민간정원으로 지정된 꽃섬, 고흥 나라도항 쑥섬으로 갔다.
쑥에 질이 좋아 쑥섬으로 불렸다고 관광해설사가 말한다. 쑥스러웠던 착한마음 나로도 선심(善心)이 아가씨는 낫낫한 해설사가 됐다. 그것도 고령 신씨에 신선의 마음인가~신선심 해설사가 됐다.
애잔한 어감의 애도艾島)는 오늘의 낫낫한 쑥섬~쑥섬이 됐다.  

오늘이 쑥섬에 가는 세번째다.

첫번째 방문 때, 아~쑥섬 꽃이 참 이쁘네~
두번째 들렀을 때, 쑥섬 민간정원이라는데 섬을 얼마에 통째로 샀을까?
세번째 갔을 때, 쑥섬은 인생길...

오늘 내가 본 쑥섬은 삶의 여정을 일러주는 인생길이었다.
나는 쑥섬의 존재를 그렇게 느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할 나이에서~나는 느낀다, 고로 존재하는 나이가 됐다.
그렇게 쑥섬길을 느끼고 인생길로 스토리텔링해본다.

☆ 인생은 항해길

나로도항 쑥섬가는 선착장

《마흔에 읽은 니체》라는 책에서 '인간은 망망大海에 던져진 항해와 같다'는 말이 떠오른다. 저 나로도 우주와 쑥섬 하늘 위에 있는 구름처럼 떠오른다. 어른이 되어 다시 읽은 세계인의 명작동화《어린왕자》는 인간은 어디(우주?)로부터 와서 어디로 가는가, 인간존재의 근원을 묻는 책이다.

우주의 고장 나로도 우주센터가 지척에 있는 하늘에 배도 있고 (노란색) 난관도 있으니 저 그림이 딱 인생길이다.
쑥섬에 다다르니 괴이하게 운다하여 <괴~>라고 불리던 고양이 부곡~고이부곡(고흥 옛이름) 역사의 잉태가 보인다. 나를 밴 불룩한 엄니배도 보인다. 고양이가 가장 편안할 때 자세란다.
나는 고양이~꽃정원 쑥섬은 태아의 낙원(樂園)인가
뱀골 재너머 낙안(樂安)인가

나로도 항에서 나를 반긴 전라도 사투리가 어때서(?) 이모트콘, 오메~오메~오리가 나를 반긴다.
야옹이랑 고양이랑~눈짓을 한다.

오리인가~갈매기인가?
내눈에는 분명 오리인데 사람들이 갈매기 카페식당이라 말하니~나도 갈매기로 내 눈속임을 해본다.

오늘 나는 볼품없어 보이는 저 쑥섬의 뒷모습, 가파른 산길을 올라 환희의 언덕을 지나 확 트인 드 넓은 태평양을 보러 나로도항에서 배를 탄다.
쑥섬까지는 5분 내로 금방 도착이다~쑥섬뒷산을 오른다. 
태아가 세상에 나오려 양수에서 어머니 배를 타듯 나도 배를 탄 것이다.

☆태어남과 자람

어머니 나무(자궁)
어머니 나무(젖가슴)

또 한번 오매~오매다.
서울 북한산에 여성의 자궁을 닮은 여성봉이 있다지만 이보다 더 닮은~여성이 있을까?
이래서 고향을 어머니 품이라 하는가, 나무가 어머니를 닮았다.
고흥읍 봉황산에는 어머니바위가 있고 쑥섬에는 어머니나무가 있다.

인간은 우주로부터 왔다는 말은 거추장스러울 수 있다. 나는 생명을 잉태하는 어머니 자궁으로부터 나와 세상과 만나게 됐다. 그리고 첫울음과 함께 만나는 뽀송한 어머니 젖가슴이다.
그날에 나는 울었고 多産 어머니는 울지 않았다, 삼신 할매가 그랬다.  
인간은 태어날 때도 울고 슬플때도 울고 죽을 때도 울음운다.

남도에만 산다는 열대림 후박나무다.
열대림은 나에게 척박하고 질펀한 시절을 살았던 남도 어머니로 느껴진다.
당할매? 그러고 보니 남도 말 몰랑이 변한 몬당(언덕)에 마음속으로 존재했던 당할매도 떠오른다.
남도에서 태어난 사람은 한두 번쯤 이말을 들어 보았으리라

이놈 고추 좀 보소~
당할매가 점지해 주었나?
다리 밑에서 주어왔나?

나는 어디로부터 왔는가?
분명히 어머니 배속에서 자궁에서 나왔는데, 당할매 손주딸이 당골네(무당)인가?
그렇게 고개를 갸우뚱 하는 어린 날들이었다.
하여간, 어머니나무는 어머니를 닮았다. 쑥섬은 나에게 이렇게 말한다.

저 나무에는 사람이 살고 있어요!

■ 서울길 vs. 쑥섬길

아니, 그것보다 내가 별☆볼 일 없는(?)는 서울하늘 아래에서 본 세상과 무언가 달랐다.
서울과 고향이 오버랩 되어 머리속을 들락날락한다.
서울 하늘 아래 사는 나무들은 나무가 나무란다.
나무가 사람을 나무란다.
나무가 사람을 믿지 못하고 나무란다. 사람에게 반말을 하기도 한다.

꽃을 뽑아 가지 마세요!!!
흡연금지!

그리고 서울하늘 아래에 나무에 칭칭 감은 수많은 경고문구,  요건만 간단히 보고서 언어로 쓰여 있는 짧은 말들, 열길 사람 속 쑥섬의 사람말은 왜 길게 늘어 쓴 이야기일까? 서울하늘에 나무는 무엇을 하라는 긍정의 말은 별로 하지 않는다. 하지말라는 부정의 말을 자주 한다. 느낌표를 세개씩이나 붙였다.  

☆ 쑥섬 들머리 길

초입부터 계단길로 가팔라 보인다.
방문객을 배려하는 우산이 눈에 띈다. 사람을 믿는 양심우산이다.
고흥사람 송수권 남도 서정시인은 길은 믿음이요 축복이라 했다.

쑥섬에는 육박나무가 많다. 얼룩무늬가 군복과 비슷해 해병대나무요, 강인함을 상징하는 나무란다.
대한민국 남성이면 누구나 가야 하는 군대에서의 청춘을 말하는 듯하다.

가파른 돌길을 오른다. 따르릉 자전거 목일신 동화작가 자전거 가듯 싸목싸목 간들간들 지난다.

고향에서 척박했던 인생길 지나듯~힘겨운 쑥섬 뒷길을 걷는다. 볕이 들어오는 그곳, 한반도 지도처럼 보이는 저위에 그곳은 어디인가?

쑥섬 핫플레이스란다.
인생샷(?)을 찍기 좋은 곳이란다. 쑥섬은 힘겨움을 강인함으로 이겨내고 다다른 그곳을 이렇게 말한다.

환희의 언덕

환희의 언덕에는 무엇이 보일까?
인생의 큰바위 얼굴은 무엇일까?

중학교 국어교과서 큰바위얼굴은 무엇을 말했던가?
그때는 어린마음에 무언가 잔잔한 감동이 있었는데, 그 고향의 마음 선심(善心)을 까먹었나~
내용이 생각나질  않는다.

나로도 항에서 선심(善心)이 해설사가 아짐잖게 여기가 어디라고 왔냐고 한다.
머시라고 볼것이 있다고...
쑥섬은 암끗도 없는 것인가?
아짐찮게도....

이것도 시라고 일까
이런게 진정한 시인가
시는 다~우슷개였나~
내안에 잠자는 생명체의 근원
미토콘드리아가 나를 깨운다.

나로도항에서

* 아짐찮다 : 미안하기도 하고 고맙기도 한 오밀조밀한 사람의 마음을 표연한 전라도 말

다음 글에 계속...